청년정책3 2023년 청년내일채움공제!(400만 원으로 2년 간 1200만 원 만들기) 학교에서 고등학생들에게 강의를 하며 물어보니 잘 모르는 학생들이 많은 것 같아서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이 글을 읽고 나면 제도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초년생 시절에 얼마나 지출관리를 잘하고 시드머니를 모으냐"가 인생의 엄청난 차이를 만들어낸다. 좋은 대학교를 나와 좋은 회사에 들어가는 것도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는 길이겠지만 그것만이 돈을 모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아님을 반드시 청년들이 알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절대적으로 중소기업이 많다. 아니 거의 대부분이다. 대기업에 들어가지 못함을 한스러워 할 수는 있지만, 이제 중소기업으로 눈을 돌려 거기에 맞는 전략을 구사하면 그만이다. 생각보다 청년들을 지원하는 혜택이 정말 많은데 다들 잘 모른다. 자신이 조건이 충족된.. 2023. 1. 20. 2023년 고교취업연계장려금 꼼꼼하게 알아보자! 목차 1. 고교취업연계장려금이란? 2. 신청대상은? 3. 지원규모는? 4. 지원절차는? 5. 제출서류는? 6. 의무종사 및 반환 7. 신청방법은? 1. 고교취업연계장려금이란?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하는 고교 3학년 학생들(졸업예정자)의 사회 초기안착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장려금을 지급하여 중소・중견기업 취업 활성화 유도를 통해 청년의 다양한 성장경로 구현을 지원하는 제도 2. 신청대상은? 신청대상은 위의 표처럼 직업계고 및 일반고 직업교육 위탁과정(1년 이상) 3학년 재학생으로 신청기간 내 중소, 중견기업에 취업을 하고 있거나 취업이 예정되어 있는 자이다. 3. 지원규모는? 학생 1인당 총 500만 원이며 일시금으로 1회 지급한다. 4. 지원절차는? 1단계 : 학생이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서비스 이용자로 등.. 2023. 1. 10. 2023년 6월부터 목돈 마련 지원! 청년도약계좌! 2023년 6월, 청년도약계좌 도입 확정 이번 정부 핵심 공약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가 시행된다고 한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금융상품으로 가입자의 납입 금액에 맞춰 정부가 기여금을 넣어주고, 이자소득은 비과세 해주는 상품이다. 매달 70만 원을 납입하면 5년 후 만기 시 약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납입 원금은 4,200만 원이고 정부가 800만 원을 내주는 셈이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은? 만 19세~34세 개인소득 연 6천만 원 이하이며 가구 소득이 중위 180% 이하일 것(두 조건 모두 해당돼야 함) 매달 40~70만 원 납입할 수 있음. 의무가입기간 5년 중위소득이란? 위의 표와 같이 본인 가구 수에서 기준 중위소득의 180%를 넘지 않는지 확인하면 된다. 참고사항.. 2023. 1.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