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년 코로나가 발생한 후 유례없는 유동성이 풀리며 모든 사람들이 주식시장에 가담한 것이 아닌가 싶게 계속 주식이 올랐다. 주식뿐만 아니라 모든 자산이 폭등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듯싶다.
하지만 자본주의는 언제나 그렇듯이 호황과 불황이 반복되고 상승과 하락이 반복된다. 주가는 계속 하락하며 경기침체가 올 것 같다는 전문가들이 늘고 있다.
경기가 침체되고 금융자산이 하락장에 접어들게 되면 실제로 투자를 한 사람들만 피해를 볼 것이라 생각하지만 실제는 모든 사람이 영향을 받는다.
금융자산은 회사들과 연관이 깊다.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 금리가 인상되면 회사들이 자금을 구하기가 어려워져 사업이 축소된다. 실업률은 올라가고 사람들의 가처분소득은 줄어든다. 소득이 줄어드니 부동산을 사려는 사람들이 줄어 부동산 역시 침체된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대출 이자는 늘어나니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사람들은 빚 독촉을 받게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모든 자산을 정리해 현금화하여 예금만 하고 있어야 하는 것일까?
아니다. 이런 하락장일수록 우리는 경제와 금융을 공부하여 대비해야 하고 그래야 다음 상승장이 올 때 구경만 하고 있지 않을 수 있다.
한국은행이 국민이 알면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한 용어 중에 90 여개만 추려보았다. 이 중에 80% 이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면 당신은 거의 완벽한 성벽을 갖춘 성주다. 만약 아는 용어가 50개 이하고 그동안 아무런 관심이 없었다면 모든 공부를 중단하고 이 용어부터 공부해야 한다.
- 김승호 회장님의 돈의 속성 중 -
'과연 나는 이 용어들을 남들에게 이해시킬 수 있도록 설명할 수 있나?' 하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오늘부터 다시 경제금융용어를 공부해 블로그에 적고, 이 글을 읽는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해볼 것이다.
오늘의 경제금융용어는 "가산금리"이다.
가산금리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함께 알아야 할 경제용어들이 있어 같이 설명해보겠다.

1. 금리란?
우리가 은행에 돈을 예금하고 받는 대가,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경우(대출) 일정기간 동안 빌려 쓴 것에 대한 대가를 이자라고 하고, 그 이자의 원금에 대한 비율을 이자율 또는 금리라고 한다.

2. 가산금리란?
가산금리란 금융기관에서 대출, 채권 등의 금리를 결정할 때 기준 금리에 덧붙이는 금리이다.
출처 :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우리가 은행에서 집을 사려고 돈을 빌릴 때(주택담보대출)에 대출금리는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고 가감조정금리를 뺀 것이라는 것이다.
대출금리 = 기준금리 + 가산금리 - 가감조정금리
이렇게 은행에서 가산금리를 붙이는 이유는 가장 크게는 은행도 돈을 벌어야 하니까 본인들의 마진을 붙이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예를 들어보면 한국에서는 구할 수 없는 A라는 만 원짜리 물건을 외국에서 사 와서, 한국에서 팔 때 나의 수고비를 덧붙여서 만 오천 원에 파는데 여기서 수고비에는 내가 비행기 타고 왔다갔다한 비용, 내 인건비, 서울에서 물건 구하는 데 들어간 비용, 나의 이윤 등이 들어가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은행에서도 가산금리에는 위험관리비용(빌려준 돈 못 받을 경우 등), 대출 관련 비용, 운영비, 인건비, 은행 이윤 등이 들어가 있는 것이다.
3. 기준금리란?
기준금리는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국가의 대표 금리이다.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정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고 한국은행은 은행들의 은행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는 시중은행들과 거래를 하고, 시중은행들은 한국은행과 거래를 한다. 따라서 시중은행들은 한국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릴 때 기준금리의 적용을 받고, 우리는 시중은행으로부터 돈을 빌릴 때 기준금리+가산금리-가감조정금리로 적용을 받는다.

4. 가감조정금리란?
가감조정금리란 대출을 신청한 은행이나 관련 금융기관에서 금융상품을 사용하고 있는지, 해당 은행을 얼마나 이용하고 있는지 등을 고려해 금리를 추가로 낮춰 주거나 올려주는 것이다. 예를 들면 대출을 받을 때 급여통장을 사용한다거나 신용카드를 발급한다거나 주거래은행이고 거래금액이 일정액 이상이거나 하는 조건들을 충족하면 대출금리를 낮춰주거나, 예금금리를 올려주는 것이다.

실제 경제금융 기사에 사용되는 사례

'금융,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세 시대, 재무 안전망: 종신보험 vs 정기보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1) | 2024.11.29 |
---|---|
경제금융용어 : 주택담보대출 3대장 LTV, DTI, DSR (0) | 2023.01.25 |
경제금융용어 : 고정금리, 변동금리, 금융채, 자금조달비용지수(COFIX) (0) | 2022.11.29 |
경제금융용어 : 경기동향지수, 경기, 경기종합지수 (0) | 2022.10.27 |
금리상승기에 준비해야 할 것들!!! (1) | 2022.10.10 |
댓글